웹 개발/데일리 토픽

TDD (Test driven development)

ecofinder 2024. 1. 19. 19:03
반응형

TDD (Test Driven Development)

안녕하세요 여러분! 오늘은 웹 개발에서 중요한 주제인 "TDD (Test Driven Development)"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! 🚀

TDD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, 테스트가 개발의 중심이 되는 개발 접근 방식이랍니다.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그에 맞춰 실제 코드를 작성함으로써,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요! 😊

TDD (Test Driven Development)

TDD의 주요 단계

TDD는 크게 세 가지 주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요. 이 단계를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코드를 개발해보면 어떤 것인지 한번 알아볼까요?

  1. 테스트 작성: TDD에서는 먼저 개발할 기능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합니다. 이 테스트 코드는 예상 동작을 정의하고, 어떤 값을 예상하는지를 명시해요. 📝
  2. 실패하는 테스트 실행: 작성한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여 실패하는 것을 확인합니다. 당연히 현재까지 아무런 코드가 없으므로 실패할 거에요!
  3. 테스트 통과하도록 코드 작성: 이제 실패하는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코드를 작성합니다. 테스트가 통과되면 해당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. 🎉
  4. 리팩토링: 테스트가 통과되면 코드를 개선하고 정리합니다. 중복 코드를 제거하거나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요.
  5. 반복: 위의 과정을 반복하며, 새로운 테스트를 추가하고 코드를 개선해 나갑니다. 이런 반복을 통해 안정적이고 품질 좋은 코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. 🔁

TDD는 개발 초기부터 테스트가 중심이 되므로 코드의 버그를 줄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요. 또한, 기능 추가 및 변경에 따른 부작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답니다. 😎

예시 코드

간단한 예시 코드를 통해 TDD를 이해해봅시다:

// 테스트 작성
function sum(a, b) {   
  return a + b;
}  

// 실패하는 테스트 실행 
console.log(sum(2, 3)); // 예상 결과: 5  

// 테스트 통과하도록 코드 작성 
function sum(a, b) {   
  return a + b; 
}  

// 리팩토링 
function sum(...numbers) {   
  return numbers.reduce((acc, cur) => acc + cur, 0);
}  

console.log(sum(2, 3, 4)); // 예상 결과: 9

위의 예시 코드에서는 sum이라는 함수를 개발하려고 할 때 TDD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합니다. 먼저, 예상되는 동작과 결과를 갖는 테스트를 작성한 후 테스트를 실행합니다. 초기 버전의 sum 함수는 2와 3을 더한 값을 반환하도록 작성되었으며,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해당 로직을 작성합니다.

테스트를 통과한 후에는 리팩토링을 수행하여 가독성을 개선하고 중복 코드를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어요. 최종적으로 sum 함수는 임의의 개수의 인자를 받아 모두 더한 값을 반환하는 형태로 발전하였습니다. 🔁

적용 예시

TDD를 활용하면 다양한 개발 상황에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요. 예를 들어, 버그 수정을 할 때 이전에 발생했던 버그를 다시 발생시키지 않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
또한 TDD는 다른 개발자와 협업할 때도 유용합니다. 서로의 코드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면서 신뢰성 있는 코드를 개발할 수 있답니다. 🤝✨

결론

TDD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품질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개발 방법론입니다.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그에 따라 실제 코드를 개발하면 안정성과 질이 더욱 향상됩니다. 👍😄

개발할 때 TDD를 적용해보세요! 테스트 기반으로 개발을 하면 코드의 신뢰성을 높이고 버그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요. 이러한 개발 방식을 익혀나가며 더욱 효율적인 개발을 경험해보세요! 🌟

 

 

COUPANG

쿠팡은 로켓배송

www.coupang.com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의 활동의 일환으로, 일정한 금액의 수수료를 받게됩니다.

반응형

'웹 개발 > 데일리 토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라우터 (Router)  (0) 2024.01.20
CSS 방법론 - BEM  (0) 2024.01.19
[React] 클래스형 컴포넌트와 함수형 컴포넌트의 차이  (0) 2024.01.19
React의 라이프 사이클  (0) 2024.01.19
재귀 (Recursive)  (0) 2024.01.18